섹터를 활용한 투자 방법, 3가지만 알면 돼.

섹터를 활용한 투자 방법은 이 3가지만 알면 돼.

  1. 시장 비중에 맞게 투자하는 방법
  2.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하는 방법
  3. 경기 순환 사이클에 맞게 투자하는 방법

각각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1. 시장 비중에 맞게 투자

이 방법은 시장의 섹터 비중에 맞게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이야.

출처: 삼성자산운용

위 사진은 최근 미국 시장의 섹터별 비중이야. 현재 미국 시장에서 테크놀로지, 금융 섹터 비중이 31.12%, 13.79%로 높은 걸 알 수 있어.

그렇다면 투자금이 1,000만 원일 때 정보기술 섹터 ETF인 ‘XLK’ 310만 원, 금융 섹터 ETF인 ‘XLF’를 140만 원 투자하는 거야.

시장의 변화에 따라 섹터별 비중은 달라져. 본인의 주기를 정해놓고 비중을 맞춰주면 돼.

단, 많은 매수 매도는 하지마. 분기별이나 반기별로 바꾸면 좋아.

2.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

방법은 11개의 섹터마다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하는 방법이야.

섹터가 11개이니 각 섹터마다 약 9%정도의 비중으로 매수를 하면 돼.

이후 분기나 반기, 또는 1년에 한번씩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매도와 매수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방법이야.

매수할 ETF도 내가 아래에 정리해줄게.

섹터ETF 티커
정보기술XLK
에너지XLE
소재XLB
산업재XLI
임의소비재XLY
필수소비재XLP
헬스케어XLV
금융XLF
커뮤니케이션XLC
유틸리티XLU
부동산XLRE

위 ETF를 참고해서 고르게 매수하면 돼.

만약 저렇게 조절하는 게 싫고 한번에 사고 싶다면 이미 동일한 비중으로 투자하고 있는 ETF도 있어.

EQL ETF 보유종목 / 출처: ETF.com

바로 ‘EQL‘이라는 ETF야. 위에서 설명한 ETF들을 골고루 담고 있지? 참고해둬.

3. 경기 순환 사이클에 맞게 투자

마지막 방법은 경기 순환 사이클에 맞게 투자하는 방법이야. ‘섹터 로테이션’ 전략이라고도 불려.

앞서 알려준 방법보다는 더 공부가 필요한 방법이긴 해. 경기 순환 사이클의 각 단계에서 성과가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섹터에 투자하는 전략이야.

예를 들어 경기 사이클에 따라 현재 시장이 회복기라면 회복기에 좋은 성과를 보이는 금융, 부동산, 산업재 등의 섹터에 투자하는 거야.

섹터별 성과 분석 이미지

위 사진을 봐도 연도별로 좋은 성과를 낸 섹터가 달라. 회색은 S&P500이야. 항상 중간은 해주는 것 같아. 그래서 VOO와 같은 ETF를 사도 평균 이상은 해.

출처: 피델리티

위 사진은 경기 순환에 따른 섹터별 성과를 나타낸 이미지야. 위 이미지를 참고해서 현재 경기에 맞는 섹터에 투자하면 돼.

자 이제 그러면 ‘지금이 경기 사이클의 어떤 구간인지‘ 또 궁금증이 생기지?

출처: 피델리티

위 사진처럼 ‘피델리티‘라는 사이트에서 나라별 경기 사이클을 나타내주고 있어. 아래 링크에서 참고해.
참고: 피델리티 사이트

현 시점에서는 캐나다와 중국이 침체기를 지나 회복기로 진입하는 중이야.

반면, 멕시코, 인도, 브라질, 미국, 일본, 한국 등은 후퇴기에 접해있는 모습이야.

후퇴기에는 부동산,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등의 섹터가 강세를 보여.

요약 정리

여기 까지 섹터를 활용한 투자 방법 3가지를 살펴봤어.

✅시장의 섹터 비중에 맞게 투자하는 방법.
✅동일한 섹터 비중으로 투자하는 방법.
✅경기 순환 사이클에 맞는 섹터로 투자하는 방법.

이 3가지를 알았다면 섹터 투자에 대해서는 제대로 배운거야.

미국 주식 기초 시리즈를 통해 더 많은 내용을 알아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