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투자 세금은 얼마? 절세팁까지 완벽 정리

미국 주식 투자 세금은 얼마일까?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어.

이번 글에서 미국 주식 투자 세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절세팁까지 완벽하게 정리해줄게.

1. 거래세

한국에서 미국 주식을 거래할 때, 한국 증권사를 통해 매수를 하면 ‘증권거래세’는 부과되지 않아.

💡증권거래세란? 국가가 주식 거래에 대해 거두어 들이는 세금이야. 매도자가 납부하는건데, 주식 매수에는 부과되지 않고 매도 시에만 적용돼.

대신, ‘증권사 수수료’와 같은 비용이 발생해.

증권사 수수료는 매매 금액의 0.25~0.5% 정도야. 최근에는 증권사마다 수수료 인하 이벤트를 많이 하기 때문에 더 낮을 거야.

증권사수수료는 어디에다 따로 납부하는건 아니야. 증권사가 자동으로 원천징수하고 있어.

2. 배당소득세

미국 주식을 보유할 때 배당금이 발생할 경우에는 배당소득세가 부과돼.

미국과 한국의 ‘이중과세방지협정‘에 따라 배당금의 15%가 미국에서 원천징수되고 들어와.

예를 들어 1,000달러의 배당금을 받는다면, 미국에서 150달러가 원천징수되고, 850달러를 수령하게 되는거지.

그리고 배당소득이 2,000만 원 이상이라면 한국에서 종합소득세를 내야해.

하지만 미국에서 이미 납부한 15%를 공제 받을 수 있어 중복 과세는 되지 않아.

3. 양도소득세

양도소득세는 쉽게 말해 ‘주식을 매도하여 차익이 발생하면 납부하는 세금‘이야.

양도 차익의 22%가 세금으로 부과돼. 하지만! 연간 250만 원까지는 비과세 혜택이 주어져.

예를 들어, 한 해 수익이 250만 원이 났다면 비과세 혜택을 모두 누려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아도 돼.

1,250만 원의 수익이 났다면 250만 원을 공제하고 1,000만원에 대한 22%의 세금으로 220만 원을 내는 거지.

양도소득세는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정산하면 돼.

4. 절세팁

그럼 이제 절세팁을 알아볼까?

먼저 증권사 거래세야.

증권사 거래세를 아끼러면 계좌개설은 오프라인보다는 모바일로 하는 게 더 좋아. 비대면계좌개설 이벤트를 많이 하거든.

또한, 각 증권사마다 수수료가 다르기 때문에 처음 계좌를 만드는거라면 비교해보는 것도 좋아.

마지막으로 ‘거래 횟수‘를 줄인다면 더 좋겠지? 자주 사고팔지 말고 장기 투자를 한다면 수수료도 아끼고 수익도 챙길 수 있을거야.

다음은 배당소득세야.

받는 배당금에 대해서는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절세 방법이 없어.

하지만, 받는 배당금이 2,000만 원을 초과한다면 종합소득세까지 내야 한다고 했지?

결혼을 했다면 본인 배당금 2,000만 원을 채우고, 아내 계좌로 2,000만 원을 채우면 돼.

다음은 양도소득세야.

양도소득세는 연간 250만 원 비과세를 활용해야 해. 사정이 급하지 않다면 연간 250만 원씩 인출하는 방법이 있어.

또한, 미국 주식은 손실과 수익을 합해서 양도소득세를 내거든?

따라서, 손실 난 종목과 수익 난 종목을 함께 매도하면 양도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요약 정리

미국 주식 투자 시 세금은?

  • 증권사 수수료: 0.25~0.5%(증권사별 상이)
  • 배당소득세: 15% 원천징수
  • 양도소득세: 차익의 22%(연간 250만 원 까지는 비과세)

미국 주식 투자 절세팁은?

  • 증권사 수수료: 모바일 계좌 개설, 증권사 이벤트 활용, 거래 횟수 줄이기
  • 배당소득세: 본인과 배우자 각각 2,000만 원씩 배당금 수령하기
  • 양도소득세: 250만 원 비과세 활용하기, 수익과 손실 상계하기

이상으로 미국 주식 투자 세금은 얼마인지, 절세팁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봤어.

아래 미국 주식 기초 시리즈에서 미국 투자에 대해 많이 배워가!

책테크 유튜브에서는 짧은 영상으로 정보를 알려줘. 구독하고 자주 보자.

여러분의 성장을 위해 책을 추천하고 있어. 아래에서 참고해!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