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계좌와 IRP의 차이를 아는 것은 연금저축을 시작 할 때 꼭 알아야 할 내용이야. 이번 글에서 각각의 차이점을 비교해보면서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래.
연금저축계좌 IRP 차이점
1. 세액공제 한도
-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 세액공제 연간 한도는 최대 600만 원
- IRP: IRP 세액공제 연간 한도는 최대 900만 원
이때 소득 구분에 따라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는 13.2%, 총급여 5,500만 원 이하는 16.5%의 세액공제율이 적용.
2. 투자 상품과 한도
- 연금저축계좌
- 연금펀드, ETF 등에 투자
- 주식형 자산 투자 한도 100%
- IRP
- 연금펀드, ETF, 예금, ELS, ELB, 리츠 등에 투자
- 주식형 자산 투자 한도 70%
- 나머지 30%는 안전 자산에 투자해야 함
3. 수수료 및 기타 조건
- 연금저축계좌
- 수수료가 없음
- 담보대출이 됨
- IRP
- 납입 금액의 0.2% ~ 0.5% 정도 수수료가 있음
- 담보대출이 안 됨
4. 중도 출금
- 연금저축계좌
-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원금)은 자유롭게 인출 가능
- 세액공제 받은 금액은 기타소득세 16.5%를 내고 인출 가능
- IRP
- 중도 출금 불가
- 단, 무주택자가 주택을 구매하거나 근로자 및 부양가족의 요양이 필요한 경우 등 몇 가지 사항에 해당되면 해지 가능
5. 가입 요건
- 연금저축계좌: 누구나 가입 가능
- IRP: 근로소득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소득이 있는 근로자
연금저축계좌 IRP 차이점 비교
구분 | 연금저축계좌 | IRP |
---|---|---|
가입 대상 | 누구나 가입 가능 | 직장인, 사업자, 퇴직 예정자 등 |
세액공제 한도 | 최대 600만 원 | 최대 900만 원 |
투자 상품 및 한도 | 예금, 펀드, 보험(위험 자산 100%) | 예금, 펀드, ETF 등(위험 자산 70%) |
중도 출금 | 가능 | 불가(예외 조건 충족시에만 가능) |
수수료 | 없음 | 납입 금액의 0.2~0.5% |
담보 대출 | 가능 | 불가 |
둘 중에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연금저축계좌가 유리한 경우
- 연간 저축액이 600만 원 이하일 때
- 직장이 아닌 다른 형태로 소득을 벌 고 있을 때
- 담보대출 잡을 일이 많을 것 같을 때
- 중도 인출에 보다 자유롭고 싶을 때
IRP가 유리한 경우
- 세액공제 한도를 최대화하고 싶을 때
- 다양한 상품에 투자하고 싶을 때
- 계좌 하나로 연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 받으며 운용하고 싶을 때
연금저축계좌와 IRP 함께 활용하는 방법
가장 좋은 방법은 두 계좌를 병행해서 세액공제를 극대화하는 거야.
- 연금저축계좌로 최대 600만 원 세액공제
- 추가로 IRP에 300만 원을 넣어 총 900만 원의 세액공제 혜택 받기
이 방법을 사용하면 세액공제의 혜택을 모두 받으면서 노후 자금을 체계적으로 마련할 수 있어.
여기까지 연금저축계좌와 IRP의 차이점 비교를 해봤어.
아래는 연금저축계좌 완벽 정리 시리즈 링크야. 노후 준비에 필수인 연금저축계좌의 모든 것을 이 시리즈로 알아가면 도움 될거야!
아래 미국 주식 기초 시리즈에도 유익한 내용 많으니 참고해!